작년 부동산 가격의 급격한 상승 및 현재의 침체기와 더불어 국내가 아닌 해외 부동산 ETF 상품에 투자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인덱스 펀드의 정의 및 대표적인 ETF 상품들에 대해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1. Index Fund 인덱스 펀드 정의

   : 주가지표 주가지수의 수익률을 반영한 것

   : 투자한 주가지수가 오르면 펀드 수익률도 같이 올라감

 

 우리나라의 주가 지수인 ‘KOSPI 코스피‘ 의 상승을 기대한다면 개별 종목에 대한 투자가 아닌
  ‘KOSPI Index Fund’ 에 투자를 하면 됩니다. 

 

2. 인덱스 펀드의 장점

   : 일반 펀드에 비해 수익율이 높음

    1) 장기 투자 시, 비과세 및 소득공제 혜택이 있음

    2) 운용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함

 

3. 인덱스 펀드 종류

  1) 국내

    * KODEX 200

      : 코스피 KOSPI 200 지수를 따라가는 상품으로, 지수가 오르면 같이 주가가 오르는 형태

      : 해당 ETF 에는 삼성전자의 종목비율이 가장 높음 (‘삼성전자주가가 지속 올라갈때 같이 성장)

    * KODEX 코스닥 150

      :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종목 중 시가총액, 유동성 등을 고려해 선정한 150개 종목의 주가를 따라가는 상품

 

   ▶ 구성 종목 확인 방법
     :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되고, 해당 ETF 에 구성된 종목은 한국거래소 인덱스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index.krx.co.kr/main/main.jsp
    : 주가지수 → KOSPI 시리즈, KOSDAQ 시리즈 클릭 → 세부 업종별 기업 확인 가능

 

출처 : KRX Indices

 

매년 5월, 11월에 한국거래소 주가지수 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편입, 편출 종목이 확정되어 6월, 12월에 변경 반영됩니다.

중간에 상폐되는 기업은 수시로 반영 됩니다.

 

 2) 미국

    * SPDR S&P 500 ETF Trust

       : 미국 S&P 500 지수를 따라가는 상품

       : 상품 수수료 0.0945 %

    * KODEX 미국 나스닥 100 레버리지

       : 미국 나스닥 100 지수 내 종목의 수익률을 따라가는 상품

       : 레버리지상품이기에 지수가 오르면, 주가는 2배 이상 오르는 형태

    * TIGER 미국 S&P500

       : 미국에 상장된 종목 중 시가총액 상위 500개 종목을 모아 만든 지수를 따라가는 상품

       : 국내 외 미국에 상장된 개별 기업에 대해 잘 모르나 미국 증시에 투자하고 싶은 경우 적합한 상품

     * DRV Direxion Daily Real Estate Bear 3x Shares

       : 미국 부동산 ETF 투자 상품

       : 미국 S&P 500 지수 내 부동산 관련 기업들의 수익율을 역(-, 마이너스)으로 따라가는 인버스 상품

       : 미국 부동산 수익률이 감소하였다면, 감소분의 3배 이상 주가가 오르는 형태

       : 일단위로 수익률이 변동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투자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단기적 흐름에 맞춰 투자여부 판단 필요하며, 수익률이 높은 만큼 손실률도 높음

 

   3) 일본 

     * TIGER 일본니케이 225

       : 일본 니케이 지수를 따라가는 상품

       : 일본 기업이나 개별 종목은 모르지만 일본 기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는 경우 투자 적합

 


 

상품의 종류는 다양하고, 투자의 기회는 많지만 본인에게 맞는 투자와 적절한 포트폴리오 구성을 해야 장기적으로 자산 증식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증시 상황이 전체적으로 좋지 않으나 장기적으로 주식 시장의 성장을 기대한다면, 적립식으로 조금씩 모으는 것이 방법일 것 같습니다.

 

* 해당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니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