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및 공모가 청약을 진행하기 전 주식의 기본 정의 및 주식을 발행하면서 액면가는 어떻게 정해지는지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주식의 정의
: stock
: 주식회사의 사업 밑천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증서
2. 주주 의 정의
: stockholder
: 주식회사에 자본을 대는 사람
: 보유한 주식금액에 비례하는 영향력 및 책임을 행사할 수 있음
: 회사의 이익을 보유한 주식 수에 비례해 나눠 받음
: 회사의 손실과 빚, 피해도 보유한 주식 수만큼 나눠 받게 됨
3. 주식 발행하는 이유
: 자본금을 받아 회사를 성장, 투자 시키고, 규모를 키우기 위함
: 경영이 잘되면, 주식을 더 발행 → 자본금 증가 → 회사의 규모 증가
4. 주식을 발행하기 위해선??
: 주식을 발행하기 위해 기업공개를 하게 된다.
1) 기업공개 “= 자본금 공모”
: 주식회사가 주식을 공개 판매하는 방법으로 자본금을 공개 모집, 즉 공모하는 일을 뜻 함
: 이미 발행한 또는 새로 발행할 주식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공개적으로 불특정 다수에게 판매를 하게 됨
2) 기업공개의 장점
: 자본금 규모를 늘리기 위해 기업공개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다수의 투자자에게 기업의 소유권을 나누면서 기존에 발행한 주식 수량보다 훨씬 많이 발행하고,
판매하면 그만큼 회사의 규모가 커지면서 대외적으로 기업을 소개, 인지를 시켜주면서 영향력과 신용도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됨
: 사업자금을 일반 은행에서 마련하면 이자가 발생하지만, 주식 발행으로 자금을 얻으면 이자가 없음.
▶ 공모에서 흥행만 한다면 주식발행이 회사 입장에서 가장 손쉽게 자본 조성할 수 있는 방법이다.
3) 기업공개 조건
: 성장세도 좋고, 실적도 좋아야 시장에서 호평을 받고, 투자자도 모을 수 있음
▶ 기업공개를 하더라도 투자자를 모으지 못해 좋지 않은 실적을 받고, 공모를 철회해야 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음
▶ 반대로 지속적인 성장과 사업 확대로 추가 공모를 진행해 자본금의 규모를 더 늘려가는 회사도 있음
4) 발행주식의 단가
: 액면에 적는 가격 액면가가 곧 발행가이며, 발행 전 발행 단가 (1주당 가격)를 정함
: 주주총회 의결로 액면가를 정하게 됨
: 주식은 자본금만큼 발행하게 되므로, 발행주식의 총액과 자본금은 금액이 동일해야함
▶ 자본금이 5,000 만원인 주식회사가 액면가를 1000원으로 정해 5만 주의 주식을 발행하는 경우,
= 액면가 1,000원 x 발행주식수 50,000 주 = 발행주식 총액은 50,000,000 원
: 액면가를 정해 주식을 발행했다면, 이후 주식을 추가 발행해 자본금을 늘릴 수 있는데 이때 액면가를 낮춰서
발행하려고 하면, 주주총회를 열어 결의하고, 법원 인가를 얻고, 주주총회 결의 때 최저 발행가를 정해야 하며,
이 모든 것은 회사 성립 일로부터2년이 지나가 가능함.
: 또 액면가가 낮아진다면 투자자들은 기업의 장래성을 좋지 않게 보고,
신규 발행한 주식(신주)에 투자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장 폐지 주식 및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장외종목 #KONEX #K-OTC시장 (0) | 2022.10.24 |
---|---|
ELS, ELB, DLS, DLB 용어 정리 및 장단점 비교 #원금손실#원금보장 (0) | 2022.10.23 |
CMA 계좌 금리 비교, 장단점 정리 #발행어음#입출금#일복리효과 (0) | 2022.10.14 |
맥쿼리 인프라 소개 #국내배당주#도시가스인상#배당금 (0) | 2022.10.11 |
인덱스 펀드, ETF 투자 방법, 상품 종류 (1) | 2022.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