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가 주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공매도의 정의 및 영향, 현황에 대해 정리 해보겠습니다.
1. 공매도의 정의
: short stock selling
: ‘없는 것을 판다‘ 라는 뜻으로 주식이나 채권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매도주문을 넣는 것
: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의 주식을 빌려 매도한 뒤, 실제로 주가가 하락하면 저렴한 가격에 다시 사들여 빌린 주식을 갚으면서 시세차익을 얻는 기법
: ‘하락에 배팅하는 것‘
2. 공매도의 득과 실
1) 긍정적 영향
: 주가의 고평가 및 과열된 시장에 브레이크 → 단기간에 급격하게 올라버린 주가에 거품이 끼지 않도록 하락에 배팅하는 공매도를 활성화시키면서 가격 안정화 도모
: 주식시장 활성화 도모 → 거래에 따른 시장 유동성 부여
2) 부정적 영향
: 주가의 하락 → 공매도 물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주가가 하락할 확률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
: ‘개인’ 이 주도하기에 제한적임 → 공매도를 위해 주식을 빌리는 과정이 복잡하므로 상대적으로 기관, 외국인 투자자들이 활용하기 쉬움
3. 공매도 현황
: 작년 21년 5월 3일 공매도 부분 재개 이후, 현재는 일부 종목에 대해서만 공매도 거래가 가능합니다.
1) 대상
: 코스피 200, 코스닥 150 내 시가총액이 크고, 유동성이 풍부한 종목
* 코스피 200 대표 종목 : 삼성전자, 현대차, 기아, LG화학, SK하이닉스 등
* 코스닥 150 대표 종목 : 솔브레인, 엘앤에프, 골프존, CJ ENM 등
2) 확인 방법
: 한국거래소 홈페이지 → 정보데이터 시스템 → 통계 → 공매도 잔고 확인
: 개별종목 공매도 거래 비율 및 잔고, 공매도 과열 종목 확인 가능
현재 공매도 과열종목으로는 '알테오젠' 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관련 이슈
“ 불법 공매도 적발 시, 처벌 강화 “
* 요약
1) 장기적으로나 불법적으로 시장 교란하는 공매도 투자자들에 대해 모니터링을 강화
2) 불공정 거래에 대해 조사, 처벌 강화
3)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기준 추가 신설안 (11월 중)
: 공매도 거래비중 30 % and 주가 하략률 3 % 이상 and 공매도 거래대금 증가율 2배 이상 시 → 다음날 공매도 제한 조치 실행
# 결론
공매도에 대한 무조건적인 규제 강화로 주가 및 증시 하락폭을 줄이는 것 보단 시장을 교란시키는 불법 투자자에 대한 처벌 및 모니터링 상시 강화로 공매도의 순기능 잘 가동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공개 및 주식 발행 절차 #액면가#상장기업#자본금공모 (0) | 2022.10.15 |
---|---|
CMA 계좌 금리 비교, 장단점 정리 #발행어음#입출금#일복리효과 (0) | 2022.10.14 |
맥쿼리 인프라 소개 #국내배당주#도시가스인상#배당금 (0) | 2022.10.11 |
인덱스 펀드, ETF 투자 방법, 상품 종류 (1) | 2022.10.09 |
[주식] 재무제표 보는법 #재무상태표#손익계산서#현금흐름표 (1) | 2022.10.03 |